깜짝 놀랐다, 왜 지금인가?
깜짝 놀랐다, 왜 지금인가?
몇 달을 겨울로 살다 보면 나와 너, 세상은 겨울이 된다. 깊은 잠에 들고 꿈마저 고요하다. 그러던 어느날 번쩍 눈이 열리고 숨은 깊어지고 맥박이 빨라진다. 이건 뭔가? 왜 이런가? 왜 지금인가? 그 세상이 그 세상인데 뭐가 달라진 건가? 달라졌다. 봄이다. 매일 먹는 밥맛이 달라지고 21세기에 태어난 아이들은 새로운 시대를 준비한다. 일 년에 한 번, 우리는 깜짝 놀라야 한다. 봄이니까.
신현득 동시선집 “밥 먹을 때는 합장을 하라 했다. 꼭 부처님께가 아니라, 살이 돼 주는 쌀알에게라도 고맙다 하고 먹어야 된다 했다. 지금 생각하면 아버지 말씀은 시였다.” 196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산>이 당선했다. 이 책에는 <시인의 손에 놓이면>, <월식>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었다. 신현득 지음 |
10대를 위한 미디어 21세기에 태어난 10대는 완전히 새로운 세대다. 기존 세대와 전혀 다른 생각과 행동 양식을 지닌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미디어 지식이 10대에게도 과연 유용할까? 저자는 그렇다고 답한다. 누구나 기존의 것을 경험하고, 느끼고, 평가하면서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기 때문이다. 이 책은 10대의 관점에서 미디어의 다양한 측면을 기술한다. 김덕원 지음 |
정완영 동시선집 “틈틈이 일본 시집을 보는데 책의 활자가 튀밥 튀기듯이 내 입으로 들어오는 것 같았다. 날 새고 나면 활자를 하나도 남기지 않은 것처럼 빨아들였다.” 1960년 ≪국제신보≫ 신춘문예에 시조 <해바라기>가,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해바라기처럼>이 당선했다. 이 책에는 <우리 할아버지는>, <꽃가지를 흔들듯이>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었다. 정완영 지음 |
김종상 동시선집 “어린이들을 행복하게 해 주는 선생이 되려고 글을 쓰다가 작가가 되었다. 내 동시를 어린이들이 즐겁게 읽고 좋은 품성을 갖출 수 있으면 좋겠다.” 1960년 동시 <산 위에서 보면>으로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했다. 이 책에는 <산 위에서 보면>, <신나는 일> 등 시인이 고른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었다. 김종상 지음 |
신지식 동화선집 오늘날 청소년문학의 근간이 될 만한 ‘소녀소설’이란 특수 장르를 개척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유년동화에도 도전해 유아들의 정신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주인공을 통해 동경과 감상을 극복해 어떠한 환경에서도 자기를 지키고 환경을 이겨서 환경을 바꿀 수 있는 긍정적 아동상을 구현’한다. 이 책에는 <하얀 길> 외 11편이 수록되었다. 신지식 지음, 정선혜 해설 |
김영순 동화선집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학처럼>이란 단편이 당선되어 동화작가가 되었다. 초기 동화에서는 순수성을 지향했으나 1990년대 이후 우리 역사를 동화에 풀어내 올바른 역사의식을 지닌 동심을 구현했다. 덕분에 장편역사동화 ≪고구려의 왕자≫로 제1회 민족동화문학상을 받았다. 이 책에는 <송이 캐는 노인>을 포함한 10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김영순 지음, 기도영 해설 |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순히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서는 복합 개념이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은 미디어의 범위와 의사소통 방식을 확장했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시 새로운 문화·기술 지식과 능력을 요구한다. 이 책을 통해 복잡다단하게 변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론적, 개념적 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전경란 지음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지만 개념에 대한 합의는 오히려 약해지고 있다. 필자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역사적 흐름과 특성을 살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무엇이고, 왜 중요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논의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학습자가 얻게 되는 지식과 역량을 다루고 교수 학습 전략과 평가 방법도 소개한다. 김아미 지음 |
영상 활용 교육 영상을 활용하는 교육에서 교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이론을 소개한다. 자아 커뮤니케이션, 사회학습이론의 모델링 효과, 미디어 효과의 점화 효과와 배양 효과, 인지심리학의 우연적 학습과 시각적 심상의 한계, 기호학의 텍스트 분석, 그리고 영화 치료의 자전적 다큐멘터리와 브리징 기법을 담았다. 영상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전병호 지음 |
온라인 대학 교육 학업성취도는 높이고 비용은 절감한다. 온라인 대학 교육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대학 구조 개혁의 바람이 거센 현재, 교육 효과와 경제 효과를 잡을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책은 온라인 대학 교육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한다. OCW와 MOOC,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 러닝의 개념과 사례를 살피고 유형별 특성과 성공 전략을 제시한다. 이정기 지음 |
2846호 | 2016년 3월 8일 발행
깜짝 놀랐다, 왜 지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