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삼국지>, <수호지>, <일지매> 등 중국과 조선의 역사를 다룬 성인만화로 1970∼1980년대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탁월한 인식과 방대한 지식으로 엮어 낸 역사만화뿐 아니라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즐겁게 볼 수 있는 교양만화로까지 확장했던 그의 만화에 대중이 빠져든 이유는 무엇일까? 웹툰의 시대가 된 21세기에 고우영 만화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고우영
1938년 만주에서 태어났다. 1972년 ≪일간스포츠≫에 <임꺽정>을 연재하면서 인기 작가가 되었다. <수호지>(1973), <일지매>(1975), <삼국지>(1978) 등 중국의 고전과 우리의 옛 이야기를 다룬 만화를 그리면서 특유의 풍자와 해학을 곁들인 입담으로 성인 독자를 울리고 웃겼다. 일간지 연재라는 새로운 형식은 큰 파장을 불러왔다. 익히 알던 고전을 특유의 풍자와 해학으로 재해석하면서 동서고금의 온갖 정보를 덧붙여 독자를 사로잡았다. 무엇보다 그의 만화에는 대중이 원하는 이상향이 있었다.
지은이
김봉석
대중문화평론가이자 영화평론가다. ≪시네필≫, ≪씨네21≫, ≪한겨레≫ 기자를 거쳐 컬처 매거진 ≪브뤼트≫와 만화 리뷰 웹진 ‘에이코믹스’의 편집장을 지냈다. 영화를 좋아해서 영화 기자가 되었고, 영화 못지않게 좋아하는 장르소설, 만화, 대중문화, 일본 문화 등에 대한 글을 다양하게 쓴다. 『전방위 글쓰기』(2008)와 『영화리뷰쓰기』(2008)를 출간하면서 글쓰기 강좌도 진행하고 있다. 『슈퍼히어로 전성시대』(2016), 『나의 대중문화표류기』(2015), 『웹소설 작가를 위한 장르 가이드ᐨ미스터리』(2015), 『하드보일드는 나의 힘』(2012), 『컬처 트렌드를 읽는 즐거움』(2006) 등의 책을 썼고 공저로는 『내 안의 음란마귀』(2016), 『SF영화』(2015), 『탐정사전』(2014), 『호러영화』(2013), 『좀비사전』(2013), 『시네마 수학』(2013) 등이 있다. 탈학교를 꿈꾸는 청소년을 위한 『자퇴할까, 학교에 남을까』(2011)를 기획하고, 『한국스릴러문학단편선』(2008)을 엮었으며, 한때 영화사 기획 PD와 출판 기획자로도 일했다. 좋아하는 것을 보고 듣고, 글을 쓰고 말하면서 살고 있다.
차례
01 고우영의 생애
02 <대야망>, 아동만화를 그리다
03 <임꺽정>과 <수호지>, 도적 캐릭터의 출발점
04 <일지매>, 한국적 캐릭터의 창조
05 <일지매>, 한국과 중국을 아우르다
06 <삼국지>, 천변만화하는 캐릭터
07 <삼국지>, 역사를 재창조하다
08 <가루지기>, 성인만화의 확장
09 『십팔사략』, 고우영 만화의 지향
10 21세기의 고우영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고우영의 가족은 일본인도, 만주인도 아니었다. 일본이 패망하고,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만주국은 허망하게 스러졌다. 고우영의 가족은 평안남도로 왔지만 친일파를 숙청하는 북한의 사회 분위기 때문에 남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한국전쟁을 경험하게 된다. 유년기, 사춘기의 경험은 한 인간에게 대단히 중요하다. 그 시절에 겪은 경험과 체험, 지식은 몸에 새겨진다. 만주에서 태어나 자라던 소년이 겨우 세상을 볼 때쯤이 되자 반도로 들어온다. 그리고 다시 남으로 내려간다. 남과 북이 죽일 듯이 싸우는 전쟁을 맞는다. 소년 고우영에게 민족은, 국가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고우영의 생애’ 중에서
<대야망>은 당대가 요구하는 영웅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단지 위대한 영웅의 일면만을 그리지 않는다. 오로지 목적을 위해 헌신하고 희생하는 영웅의 위대함만을 칭송하지 않는다. 태국에서 킹코브라와 싸우는 에피소드가 있다. 그의 갈비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최배달은 아무리 몰려도 그곳을 공격하지 않는다. 상대의 약점을 파고들 수는 있지만, 부상을 이용하는 것은 비겁하다고 생각한다. “더러운 승리와 깨끗한 패배, 넌 무얼 택할 거냐.” 최배달은 고수들과 싸워 이기고, 최고의 무도인이 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더러운 승리를 얻을 생각은 없었다. 편법이나 음모는 더러운 수단이었다.
‘<대야망>, 아동만화를 그리다’ 중에서
지금 말로 한다면 일지매는 일종의 ‘츤데레(ツンデレ)’다. 평소에는 까칠하고 자신의 길을 위해 사사로운 정이나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안에는 누구보다 여리고 따뜻한 마음이 있다. 트라우마 때문에 마음을 열지 않는 남성 캐릭터는 할리퀸 로맨스에서도 보편적이다. <일지매>의 타깃은 분명 성인 남자였지만 여성들에게도 어필할 수 있는 지점이 있는 정도가 아니라 여성에게 더욱 매력적일 정도니 충분히 시대를 앞서갔다고 볼 수 있다. 지금 일지매를 다시 만화나 소설의 주인공으로 기용해 새로운 이야기를 풀어간다 해도 기본 성격을 거의 바꿀 필요가 없을 정도다.
‘<일지매>, 한국적 캐릭터의 창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