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최근 대중문화 논의에서 대중문화가 중심이 되는 경향이 줄어들고 있다. 그동안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는 논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현재는 대중문화 자체를 독립적으로 논의하지 않으며 문화연구, 문화콘텐츠, 기호학 및 담론연구 등과 연계시켜 논의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는 독립해서 논의할 가치를 지니는데, 여전히 현재의 가장 중심이 되는 문화 현상이기 때문이다. 대중문화에 대한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논의가 약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핵심 논제들을 다시 끌어내고, 기존 개념들과 새로운 개념들을 융합해 현재의 문화현상을 조명하고 의미를 음미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은이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전공은 언론보도, 대중문화, 문화연구, 담론연구, 기호학이며, 많은 문화현상을 기호학의 개념과 방법들로 분석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광고 기호학』(2010),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보도의 기호학』(1995)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보도, 영화, 광고, 미디어 현상들에 기호학을 적용하면서 의미를 파악하는 즐거움을 맛보자는 의도로 제작된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시리즈를 출간했으며, 『미디어 기호학』(2015)과 『미디어 담론』(2015)의 이해총서를 출간했다. 한국언론학회 저서 부문(『한국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번역 부문(『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저술상을 수상했다. 한국기호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장을 지냈으며, IAMCR의 국제평의회 의원, PACA 회장과 WCA 부회장을 맡고 있다.
차례
01 대중문화의 정의 및 개념
02 대중문화의 논의 전개
03 대중문화의 가치 및 평가
04 대중문화와 계급
05 대중문화와 성·섹슈얼리티·페미니즘
06 대중문화와 이데올로기·헤게모니
07 대중문화와 육체·욕망·폭력
08 대중문화와 주체성·정체성
09 대중문화와 산업화·상품화
10 대중문화와 담론, 의미화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