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박만득 박금단전≫은 홍윤표 선생(전 연세대 국문과 교수) 개인 소장본으로, 현재까지 다른 이본을 찾아볼 수 없는 유일본 고전소설이다. 작품 분량은 1책, 매 쪽 12줄, 총 60쪽(30장)으로 작품 말미에 무술년(戊戌年) 2월 21일에 필사를 마쳤다는 기록이 있으나, 필사자나 창작자를 추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단서는 찾아볼 수 없다. 실제 작품의 상태를 보면 얇은 붓으로 흘려 쓴 한글로 필사되어 있으며, 종이 상태가 좋지는 않지만 글자를 알아보기가 불가능하지는 않다.
이 작품은 박만득, 박금단 두 남매가 어려서 부모를 여읜 후 노비들의 모반으로 집을 도망 나와 서로 헤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성장하여 남매가 상봉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의 서사적 골격은 ‘노비들이 반란을 일으켜 위기에 처한 주인(양반 계층)이 집을 떠나 갖은 고초를 겪다가 마침내 고난을 극복하고 노비들을 처벌’하는 추노담(推奴談, 도망간 노비를 찾는 이야기)이다. 이와 비슷한 서사적 구성을 기반으로 창작된 고전소설을 일컬어 ‘추노계 소설’이라 하는데, 즉 ‘도망한 노비의 행적을 둘러싸고 주인과 노비 사이의 갈등, 대립, 해결 양상이 서사 전개의 중심축을 이루는 소설’을 의미한다. 추노계 소설은 조선 중기 이후 신분 질서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계층 간 갈등을 문학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된 추노계 소설 주인공은 남성 주인공 한 명만 등장한다. 그러나 ≪박만득 박금단전≫은 박만득이란 남주인공뿐 아니라, 박금단이라는 여주인공의 삶 역시 동등하게 조명한다. 작품을 읽어 보면 알 수 있듯, 서사의 골격은 추노담이지만,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는 두 남매의 눈물겨운 우애임을 깨달을 수 있다. 노비들을 피해 집을 나와 산속으로 달아나는 장면을 보면, 겨우 부모 품을 벗어난 남자아이가 어린 여동생을 업고 추운 겨울 가쁜 숨을 몰아쉬며 깊은 산을 방황하는 모습이 눈에 선하다. 더욱이 금단이가 혼자 남아 죽을지도 모르는 공포를 느끼면서도, 오빠에게, ‘자신을 두고 도망가라’며 흐느끼는 대목에서는 울컥하는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작품에 등장하는 어린 남매는 열 살 남짓한 나이에 죽을 고비를 넘기며 천지 사방으로 방황한다. 남주인공 박만득의 인생 노정을 살펴보면 ‘경주-김해 거제-평양 연광정-충주 탄금대-한양-거제-경주-과천-경주’로 나타나며, 박금단 또한 오빠와 경주에서 헤어진 후 몇 년 동안 방황하며 갖은 고초를 겪다 경기도 과천까지 가게 되는 기나긴 여정을 보여 준다. 이처럼 먼 길을 돌아 몇 번의 위기를 넘기면서도, 오빠와 여동생이 서로 그리워하는 마음은 한결같이 절절하다. ≪박만득 박금단전≫에는 서로를 그리워하고 서로를 위해 희생할 수 있는 애틋한 가족 서사가 존재한다. 이는 이 작품이 백여 년의 시간을 건너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지친 마음에 특별한 울림을 전해 주는 이유이기도 하다.
또 한 가지, ≪박만득 박금단전≫은 낭독의 참맛을 알려 주는 고전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창작자는 낭독의 리듬감을 염두에 두고 문장을 집필하였다. 따라서 소리 내어 읽어 본다면, 마치 판소리 사설이나 잡가의 한 대목을 읽는 느낌이 들 것이다. 등장인물이 신세를 한탄하거나 박만득이 죽은 아내를 위해 제문을 읊는 부분에서는 그 운율감이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은 독자로 하여금 읽는 맛과 함께 작품의 내용을 기억하고 이해하도록 하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200자평
≪박만득 박금단전≫은 홍윤표 선생(전 연세대 국문과 교수) 개인 소장본으로, 현재까지 다른 이본을 찾아볼 수 없는 유일본 고전소설이다. 박만득이란 남주인공뿐 아니라 박금단이라는 여주인공의 삶 역시 동등하게 조명하는 이색적인 작품으로, 두 남매의 눈물겨운 우애를 보여 준다. 또한 이 작품은 낭독의 참맛을 알려 주는 고전소설이다.
지은이
미상
옮긴이
조재현은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 입학,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계 연구”로 2006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특성과 의미를 조명할 뿐 아니라, 희구본(稀舊本) 고전소설을 다각도로 발굴·분석하여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를 밝히는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2009년 AKSE(유럽한국학회)에서 <한국의 괴물, 불가살이의 연원과 성격 연구>(네덜란드 라이덴 대학)를 발표하였으며, 이 외에도 <흥낭전과 금봉채기 비교연구>(2008), <정해경전에 나타나는 모친탐색의 양상과 의미 연구>(2008), <양소저전 연구-작품교섭양상과 주인공의 여성영웅적 성격을 중심으로>(2010), <뿌리깊은나무 박물관 소장 필사본 유황후전 연구>(2012), <임상국부자삼취기 연구-가문시조설화적 성격과 다문화 가문 계승의 의미를 중심으로>(2013) 등 관련 연구 논문을 활발히 발표하고 있다.
또한 인천 지역 교사를 대상으로 “상상, 환상의 키워드로 본 인문학과 과학-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 세계”(상상 스펙트럼-2012 선생님을 위한 문화 교실) 강연을 하는 등 학문의 나눔과 소통을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경기북부 구전자료집 Ⅱ≫(공저, 2001, 문화관광부 우수추천도서), ≪편옥기우기≫(공저, 2002), ≪곰배령 너머 그대에게 간다≫(공동 시집, 2002), ≪계축일기≫(2003), ≪영남 구전자료집 7,8≫(공편, 2003, 문화관광부 우수추천도서), ≪산늪≫(공동 시집, 2005),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2, 3≫(공편, 2005, 문화관광부 우수추천도서), ≪고전소설의 환상 세계≫(2009), ≪호남 구전자료집 3~5≫(공편, 2010)이 있다. 현재 국민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차례
박만득 박금단전
원문
해설
참고 문헌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여보시오, 낭군님은 인간의 대장부라. 6대 독자 귀중한 몸이 죽기가 뼈에 사무치게 원통하니, 소첩은 여자라. 첩이 대신 죽을 터이니 낭군님 의복을 벗어서 내게 주오. 첩이 입고 저 문 앞에 누웠으면 낭군인 줄 알고 죽일 터이니, 낭군님은 첩의 의복을 바꾸어 입고 윗목에 누웠다가 첩이 죽어 나가거든 곧바로 뛰어가서 다른 집에 가지 말고 저 건너 장 참판 집에 가서 어제 새로 오신 장 참판 둘째 며느님 방에 가야 살 것이오. 만일 살아가시거든 좋은 경치 구경하고 봄바람처럼 이리저리 다니다가 좋은 인연을 다시 맺어 만년토록 영화를 누리실 때 칼에 죽은 나의 혼령 객귀(客鬼)나 면케 하여 주소.”
만득이 하는 말이,
“목숨은 다 같은 것인데 꽃 같은 시절에 비루한 나를 위해 천금 같은 목숨이 애매히 죽으려 하니, 죽는 너는 절개려니와 살아가는 나의 마음은 앞이 막혀 갈 수 있나?”
김 낭자 하는 말이,
“시간이 바쁘니 의복을 바꾸어 입고 불을 끄고 누웁시다.”
하면서 입던 의복을 고이 벗어 낭군의 의복은 김 낭자가 입고 구름같이 고운 머리 낭자를 설설 풀어 상투를 튼 후에 내외간에 마주 앉아 울고 보고 보고 울며 가련하게 하는 말이,
“원통하다, 낭군님아! ‘백년해로하자’ 하고 태산같이 믿었더니 오늘 밤이 백 년인가? 영영 이별이 웬 말인고? 칼에 죽은 내 목숨은 황천으로 들어가서 혼령이 되고, 살아서 가는 낭군님은 천만 가지 방법으로 몸을 귀히 보존하다가 하늘이 정해 준 수명대로 별세하여 저승에 들어와서 눈물로 서로 만나 세세한 이야기 가지가지 나눕시다!”
이렇듯이 서러운 모습을 목석(木石)인들 차마 보리. 간장에 품은 서러운 마음 시간이 바쁜 까닭에 서로 이야기 다 못하고 어쩔 수 없이 불을 끄더라. 만득이는 책상 앞에 눕게 하고 김 낭자는 문 앞으로 마주 누워 시간을 기다릴 때 문 앞에 은근한 발자국 소리가 천천히 들리더니, 소리 없이 문을 열고 방 안으로 들어와서 더듬더듬 만지더니, 칼로 목을 자르는 소리 혼비백산(魂飛魄散)하는지라.
-25~2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