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만화와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합해 탄생한 웹툰은 만화를 미학적, 산업적, 사회문화적으로 확장시켰다. 웹툰은 만화를 종이, 책이라는 한정된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했고 새로운 미학적 스타일을 창조했다. 또한 다양한 이야기 매체로 매체 전환됨으로써 대중문화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책은 웹툰이 원작 콘텐츠로 활발하게 활용되는 웹툰의 매체 전환 현상에 관해 논의한다. 웹툰의 매체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원작의 변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원작 매체와 전환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매체 전환 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채희상
한신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부교수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영상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학교에 오기 전까지 서강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에서 ‘영상문화의 이해’, ‘영화사’, ‘대중문화론’, ‘방송콘텐츠기획론’, ‘영상산업론’ 등을 가르쳤다. 미디어 스토리텔링 방식의 변화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영화, 게임, 웹툰, 드라마 등을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방송드라마 모듈화 사례연구”(2017), “웹툰적 리얼리즘에 관한 탐색적 연구”(2017), “영화 <귀향>의 세 겹의 현재에 관한 연구”(2017), “저널리즘 텍스트의 상호매체적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공저, 2016), “웹툰의 매체 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은밀하게 위대하게>를 중심으로”(2014), “연극과 디지털 게임: from acting, gaming to performing in everyday life”(2014), “영화의 디지털 게임성 수용에 관한 연구: <인셉션> 분석을 중심으로”(2013), “<북촌방향>의 내레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2013) 등이 있다.
차례
01 웹툰의 매체성
02 웹툰과 매체 전환
03 웹툰과 영화 1: <패션왕>
04 웹툰과 영화 2: <내부자들>
05 웹툰과 드라마 1: <송곳>
06 웹툰과 드라마 2: <치즈 인 더 트랩>
07 웹툰과 게임 1: <마음의 소리>
08 웹툰과 게임 2: <와라! 편의점>
09 웹툰과 뮤지컬: <신과 함께>
10 웹툰적 리얼리즘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웹툰이 다루는 소재는 확대되었고 플롯 구조는 복잡해지기 시작했다. 병맛 코드의 세계관을 다룬 웹툰, 기업 홍보용 브랜드 웹툰, 영화·만화·드라마·게임 등 다른 스토리 장르의 프리퀄(prequel)·시퀄(sequel) 웹툰 등이 등장했다. 출판 만화에서 주로 다루었던 서사 구조의 장편 웹툰이 본격적으로 포털, 웹툰 전문 플랫폼에서 연재되었다. 출판 만화에서 작품 활동을 해 왔던 작가들이 웹툰 플랫폼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변화의 폭과 깊이는 더욱 확대됐다.
‘웹툰의 매체성’ 중에서
<패션왕>은 우기명이 패션에 눈을 뜨고 ‘간지남’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 고등학생들의 모습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현실적인 에피소드와 웹툰적 상상력을 극한까지 발휘하는 비현실적인 에피소드를 절묘하게 결합해 1020세대의 감성을 담아내는 데 성공한 작품이다. 중간·기말시험, 수학여행, 아르바이트, 수능시험, 대학 입학, 군 입대 등 누구나 경험하는 10∼20대 초반 시절의 에피소드들을 통해 1020세대들은 자신의 모습을 작품에서 발견하고 공감한다.
‘웹툰과 영화 1: <패션왕>’ 중에서
원작 웹툰이 연재 중인 가운데 먼저 결말을 공개해야 했던 드라마 <송곳>이 택한 주요한 매체 전환 전략은 원작과의 일치율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주·조연 배우들의 외향적 특성, 웹툰의 미장센 그대로 촬영되는 드라마 장면, 인물의 대사 등을 가능하면 그대로 살리고 있다. 물론 정지 이미지의 연속된 배열로 구성되는 웹툰의 기본적인 매체성을 드라마의 동영상 형식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취해야 하는 변화 요소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일치율은 매우 높다. 웹툰 <송곳>의 플롯, 스타일 측면의 고유한 특성은 그대로 유지한 채 드라마로 매체 전환을 하고 있는 것이다.
‘웹툰과 드라마 1: <송곳>’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