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보관문화훈장 수상이나 해외 페스티벌에 소개된 이력 등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그가 한국 대표 만화가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조선을 배경으로 한 역사만화는 대사 한 줄, 배경 한 컷, 복장 하나도 허투루 담지 않는다. 과거의 역사적 배경과 인물을 가져와 당대를 ‘은유’한다. 숱한 고민과 탐색 끝에 다양한 표현 양식을 수렴해 탄생한 그의 역사만화를 ‘바지저고리 만화’라 부르는 건 적확한 평가가 아니다. 그의 만화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작가의 삶과 창작 과정을 통시적으로 바라보고 시대별 한국 만화의 특징까지 함께 살핀다.
이두호
화가가 꿈이던 그는 1970년대 후반까지도 만화가로서 뚜렷한 목표 의식이 없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 덕에 여러 장르의 그림을 그리며 다양한 표현 양식을 탐구할 수 있었다. 1980년대, 역사만화에 집중하기로 결정하면서 “만화는 엉덩이로 그린다”는 자신의 말처럼 쉼 없이 만화를 그린다. <초생달 나그네>(1982), <배지기>(1984), <장바우>(1984), <황토길>(1985), <덩더꿍>(1987), <객주>(1988), <임꺽정>(1991)까지 조선시대 민중의 삶을 담은 보물 같은 작품들이 연이어 탄생한다.
지은이
박인하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다. 1995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만화평론 부문에 당선된 이후 만화 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전시 큐레이터, 만화 프로젝트 기획, 만화 스토리, 컨설팅 등 만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실무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 만화 역사의 계보를 연결하고, 한국 만화와 해외 만화, 사회문화적 상황과 연결되는 고리를 찾아내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어린이만화, 예술만화, 다큐만화 등 다양한 만화 영역의 큐레이션에 관심이 많다. 변화하는 웹툰 시장에서 산업 트렌드, VR와 AI 등 새로운 기술과의 연결 등으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만화사 연표 연구 1909∼2013』(2015), 『최호철, 박인하의 펜 끝 기행』(공저, 2010), 『한국현대만화사 1945∼2009』(2010), 『만화공화국 일본여행기』(2009), 『그림과 칸의 예술 만화』(2007), 『월트디즈니 vs 미야자키 하야오』(2006), 『장르만화의 세계』(2004) 등이 있다.
차례
01 신뢰의 만화가 이두호
02 중학교 2학년, 만화가가 되다
03 1960년대 한국 만화와 이두호
04 그리며 배우다
05 스포츠드라마
06 이두호 만화의 공진화
07 이두호의 역사만화
08 역사와 관계 맺음
09 역사만화의 캐릭터
10 이두호 만화와 작가 이두호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이런 까닭으로 이두호의 역사만화는 아주 적은 사료를 상상으로 채우기보다는 전승하는 풍부한 자료를 통해 시대를 충실히 재현하는 데 집중한다. ≪만화보물섬≫에 연재된 <황톳길>(1985)의 줄타기 장면이나 <임꺽정>(1991)의 굿 장면, <바람소리>(1981)에서 화로를 안고 뒤로 살판을 넘는 장면처럼 단지 당대에 벌어진 현실을 기계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무당, 재인, 백정과 같은 조선 시대 민중의 삶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신뢰의 만화가 이두호’ 중에서
1970년대 초반 이두호가 다시 그린 만화들 중 <내일의 죠>와 <타이거마스크>는 데즈카 오사무 식의 어린이들을 위한 스토리 만화에 극화의 어둡고 반항적인 주인공을 접목시켜 일본에서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었다. 여기에 <투명인간>과 <아스테릭스> 같은 서구 만화도 번안하면서 문하생 생활을 통해 스승의 만화를 연습하며 스승과 유사한 형태의 만화를 익히는 것과 달리 여러 스타일을 두루 경험하게 되었다.
‘그리며 배우다’ 중에서
만화와 회화 사이를 방황하다 만화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한 이두호가 역사만화를 그리겠다고 결심하고 그린 첫 작품이 ≪새소년≫ 1981년 5월호부터 연재를 시작해 1983년 7월호로 연재가 끝난 <암행어사 허풍대>다. 별책부록 <새소년 만화왕국>에 연재된 <암행어사 허풍대>는 소심하고 겁 많은 암행어사 허풍대가 주인공인 만화다. 장원급제를 해 암행어사가 되지만 순진하게 생긴 외양에 겁 많은 허풍대가 우연히 엄마를 찾아다니는 당찬 꼬마 까목이와 만나 함께 여행을 하는 이야기다.
‘이두호의 역사만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