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한국 개그만화 장르의 패러다임을 일변시킨 대표 작가다. ‘병맛만화’의 대표로 분류되는 그의 개그웹툰은 이야기의 흐름을 예측할 수 없어 ‘기승전병’이라는 신조어가 유행할 만큼 파란을 일으켰다. 그는 1990년대 한국 만화잡지에서 명맥이 끊기다시피 했던 웃음을 유발하는 만화 장르를 부활시켰으며, ‘병맛’이라는 트렌드를 만화 장르에 결합시켰다. 2010년대 청년 세대의 상징으로, 오늘날 대중문화의 한 트렌드를 형성한 그의 작품 세계로 들어가 본다.
이말년
그의 만화는 병맛만화라는 용어로 대표된다. 다양한 패러디와 자유로운 그림체, 예측 불허의 이야기, 독자들과 거리낌 없이 소통하는 작가라는 독특함은 이말년이란 브랜드를 독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실제로 <이말년 씨리즈>(2009), <이말년 야구배설>(2011), <이말년 4컷 특급>(2013), <이말년 서유기>(2013), <이말년 수필>(2015), <본격 말년런 만화>(2016) 등 그의 작품 제목에는 대부분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다. 2017년 현재는 웹툰 연재를 하지 않고 인터넷방송, TV, 라디오 등에 주로 출연하고 있다.
지은이
홍난지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다. 세종대학교 영상만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웹툰의 희극성에 관한 연구”(2014)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만화가협회 만화문화연구소장으로 웹툰가이드(www.webtoonguide.com)에서 칼럼을 연재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개그웹툰의 자기반영적 패러디에 관한 연구”(2015), “병맛만화의 서사구조에 관한 연구”(2014), “디지털만화의 감성자극 요인에 대한 유형 연구”(2014) 등이 있다.
차례
01 한국 우스개 만화와 명랑만화
02 개그웹툰의 전개
03 잉여와 조소 그리고 병맛
04 이말년의 웹툰 입문
05 <이말년 씨리즈>의 서사 구조
06 이말년 작품의 동시대성
07 이말년 작품의 코드화 과정
08 이말년 작품의 자기 패러디
09 이말년과 병맛만화의 의의
10 이말년과 우스개 장르의 성장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조소(嘲笑)는 비웃음이다. 업신여기거나 빈정거리며 비웃는 웃음을 조소라 한다. 흔히 여기에 대상이 되는 자는 본인이 아니다. 그러나 현대의 청년들은 자신의 처지를 비관함과 동시에 본인과 비슷한 처지에 놓인 인물들을 조소한다. 이때에 자신에 대한 객관화가 없다면 나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타인을 업신여겨 비웃는 것이지만, 스스로를 객관화해 투영할 때에는 스스로를 향한 조소가 되며 악의적인 비웃음의 정도가 완화된다. 비웃음의 대상이 곧 내가 되기 때문이다.
‘잉여와 조소 그리고 병맛’ 중에서
병맛만화를 연구한 그간의 연구물들의 공통점은 만화의 전통 아래 있으나 만화 장르의 관습에서 자유롭고 사회의 전통과 권위, 규범과 관습에 저항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병맛만화의 서사 특성으로 본다면 병맛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기존의 가치 질서에 대항하는 면모를 갖고 있을 것 같고, 이야기 면에서도 비극적 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키는 완결성이 돋보일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정반대로 병맛만화의 서사는 ‘기ᐨ승ᐨ전ᐨ병’으로 회자될 만큼 서사적 예측 불허함을 갖고 있다.
‘<이말년 씨리즈>의 서사 구조’ 중에서
병맛만화가 개연성도 맥락도 없다고 회자되는 이유는 이전의 희극 장르들에서 보여 줬던 클리셰들을 파괴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낯설었다. 클리셰가 없는 듯하고 낯설다는 것은 이제껏 희극 만화가 갖고 있던 개연성을 파괴했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즉 전통적인 희극 서사 구조가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런 형식은 연재되면서 새로운 개그 장르가 된다. 병맛만화가 가져온 개그웹툰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 관습들을 파괴하고 전복한 것에 있다.
‘이말년 작품의 동시대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