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이전 스타일과는 다른 극화체의 만화, 디오니소스적 인물들은 민주화의 희망을 짓밟은 군사정권에 대한 절망감과 경제성장의 과실 사이에서 겪어야 하는 대중의 혼란을 해소해 주었다. 만화방에 어른들이 모였고 대학가와 시내 중심가에 만화방이 생겼다. 그리고 어른을 위한 만화 잡지가 출간되었다. 그의 만화는 1980년대 한국 만화의 지형을 흔들며 확장시켰다. 하지만 그는 과거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영역의 만화를 선보인다.
이현세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의 대표 만화 작가다. 그의 만화는 시대를 웅변했으며, 대중의 절망을 품어 주었다. 그의 만화는 폭넓은 소재 소화 능력을 바탕으로 한다. <저 강은 알고 있다>(1978)로 데뷔했다. <공포의 외인구단>(1984), <사자여 새벽을 노래하라>(1987), <며느리 밥풀꽃에 대한 보고서>(1988), <아마게돈>(1988), <천국의 신화>(1997) 등 대중의 절망을 위로하는 주인공 오혜성 혹은 설까치는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와 세기말까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지은이
박인하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교수다. 1995년 ≪스포츠서울≫ 신춘문예 만화평론 부문에 당선된 이후 만화평론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전시 큐레이터, 만화 프로젝트 기획, 만화 스토리, 컨설팅 등 만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실무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 만화 역사의 계보를 연결하고, 한국 만화와 해외 만화, 사회문화적 상황과 연결되는 고리를 찾아내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어린이만화, 예술만화, 다큐만화 등 다양한 만화 영역의 큐레이션에 관심이 많다. 변화하는 웹툰 시장에서 산업 트렌드, VR와 AI 등 새로운 기술과의 연결 등으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만화사 연표 연구 1909∼2013』(2015), 『최호철, 박인하의 펜 끝 기행』(공저, 2010), 『한국현대만화사 1945∼2009』(2010), 『만화공화국 일본여행기』(2009), 『그림과 칸의 예술 만화』(2007), 『월트디즈니 vs 미야자키 하야오』(2006), 『장르만화의 세계』(2004) 등이 있다.
차례
01 한국 만화 역사와 1980년대 만화 르네상스
02 이현세 만화의 복잡성과 비극성
03 문하생으로 들어가 극화와 만나다
04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교집합
05 극화로 나아가다
06 시대를 바꾼 만화
07 이현세식 성인만화
08 순이에서 시작된 이현세 만화의 변화
09 SF와 신화적 상상
10 <천국의 신화>와 이현세의 좌절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공포의 외인구단>을 보면, 주된 갈등이 엄지를 둘러싼 동탁과 혜성의 삼각구도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삼각구도는 가장 강력한 인상을 주는 갈등인 것은 맞지만 이걸로 끝나지 않는다. 오혜성을 사이에 두고 언니 엄지와 동생 현지의 갈등이 등장한다. 이를 통해 갈등의 구조는 중층화된다. 현지와 혜성 사이에 최관이 등장한다. 최관은 다시 손 감독과 외인구단 일곱명(최관, 조상구, 백두산, 하국상, 최경도, 오혜성, 배도협) 전체와 관계를 맺는다. 손 감독은 홍 기자, 배도협과 삼각관계를 형성한다.
‘이현세 만화의 복잡성과 비극성’ 중에서
만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현세는 극화체 만화를 배우고 싶었다. 하지만 극화 작가 화실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1974년 순정만화 화실에 들어갔다. 그 뒤 명랑만화 화실을 거쳐 ≪새소년≫에 일본 만화를 베껴 그리는 작업을 하던 김동명 화실에 들어가 극화체 만화를 그릴 수 있었다. 하지만 당시 이현세에게 허락된 작업은 일본 만화나 미국 만화를 베끼는 일이었다. 이현세는 “‘인간 복사기’가 내 일이었다”고 회고한다.
‘문하생으로 들어가 극화와 만나다’ 중에서
오혜성의 이런 성향은 전대의 대중문화를 강타했던 신파와의 결별을 뜻하며, 파멸에 이를지라도 현실의 억압에 맞서는 자의식을 가진 캐릭터로의 출발을 뜻한다. 이렇게 현실에 맞서 현실 너머를 지향하려는 오혜성의 태도는 현실성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낭만성(浪漫性)’과 연관 지을 수 있으며, 이런 낭만성이 1980년대 대중의 변화된 세계 전유 방식과 맞물려 대중적 인기를 얻은 것이다.
‘시대를 바꾼 만화’ 중에서